======02. 제품 백로그====== =====1. 제품 백로그(Product Backlog)===== 제품 백로그는 우선순위가 매겨진 요구사항(혹은 스토리나 기능 등)의 목록으로 스크럼의 핵심이다. 고객이 원하는 것을 고객의 용어로 설명한 것이면 된다. 이것을 스토리 혹은 백로그 아이템이라 부른다. =====2. 제품 백로그 관리===== 보통 제품 백로그는 엑셀 문서로 관리하고 공유 기능을 사용하여 여러 사람이 동시에 편집가능 하도록 한다. 또한 제품 백로그 관련 문서는 형상 관리 시스템에 등록하지 않는다. ====백로그 항목==== * ID : 자동으로 설정되는 고유 식별자. 이름을 변경하더라도 스토리를 추적할 수 있게 한다. * 이름 : 스토리를 설명하는 짧은 이름으로 영단어 10개 이내로 구성. 개발자와 책임자가 스토리의 내용을 대출 파악할 수 있고, 다른 스토리와 구분할 수 있도록 명명한다. * 중요도 : 제품 책임자가 생각하는 스토리의 중요도. 숫자가 클수록 더 중요하다. 책임자외 다른 사람은 이 항목을 편집할 수 없다. * 최초 추정치 : 이 스토리를 구현하는데 드는 노력에 대한 팀의 최초 추정치. 추정치의 단위는 스토리 점수이며 '이상적인 man-day'에 해당한다. 또한 이 추정치는 다른 스토리와 비교한 값이므로 상대적인 수치로 표시된다. * 데모 방법 : 스프린트 데모에서 이 스토리를 어떤 형태로 데모할 것인지에 대한 테스트 명세. * 참고 : 그 밖의 다른 정보나 참고 사항 등을 간단하게 기록. 제품 백로그 (예) ^ ID ^ 이름 ^ 중요도 ^ 추정치 ^ 데모 방법 ^ 참고 ^ | 1 | 입금 | 30 | 5 | 로그인, 입금 페이지 열기, 10달러 입금, 잔액조회 페이지로 이동, 잔액이 10달러 증가했는지 확인 | UML, 시퀀스 다이어그램 필요. 지금은 암호화를 고려하지 않아도 됨. | | 2 | 거래내역 조회 | 10 | 8 | 로그인, "거래내역 조회"클릭, 입금 실행, "거래내역 조회"로 다시 이동, 입금 내역이 나타나는지 확인 | 조회 내역이 많은 경우 페이징 처리 | ====추가 스토리 항목==== 추가 스토리 항목은 대개 제품 책임자가 우선순위를 결정하기 쉽게 하기 위해 사용된다. * Track : 대강의 스토리 분류 * Component : 해당 스토리를 구현하는데 필요한 각종 요소들(DB, Server, Client 등) * Requestor : 해당 아이템을 처음으로 요청한 사람 * Bug Tracking ID : 버그 추적